[공공미술프로젝트 칼럼] 졸속으로 기울어진 “공공미술 프로젝트”
상태바
[공공미술프로젝트 칼럼] 졸속으로 기울어진 “공공미술 프로젝트”
  • 유창수 기자
  • 승인 2020.08.31 14: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양선 시각예술인
최양선 시각예술인

[글로벌신문] 지난달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예술인의 지원을 위해 약 1,000억 원의 예산을 편성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228개의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지자체별 4억 원의 예산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시작 전부터 잡음이 생기더니 곳곳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업기간을 살펴보면 9월부터 내년 2월까지 완료를 목표로 설정 돼 있는 탓에 지나치게 짧은 기간 동안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이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코로나19로 인해 각 지자체의 행정 능력은 저하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며 무리한 업무로 공무원들의 피로도는 극에 치닫고 있다. 또한, 영광군은 다른 지자체에 비해 시각예술 분야에 전문성 있는 인력이 부족한 탓에 37명이나 되는 예술인의 참여는 기대조차 못 하는 상황이다.

현재 다른 지역의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살펴보더라도 예술인의 인력 부족으로 2차 공모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 우려는 더욱 가시화되고 있다. 문제는 그뿐만이 아니다. 전문예술인과 생활예술인을 구분 짓는 기준이 없어서 정작 진짜 예술인의 지원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이미 수익사업에 예술을 이용해 경제적 안정성을 확보한 그룹이나 허위경력으로 예술인의 가면을 두른 사회인을 예술인으로 인정해야 하는 가다.

양적으로 상당수를 차지하는 그룹은 자생력을 갖추고 있어서 정부의 지원사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반면 지역의 전업 예술인은 생계 자체가 곤란하다 보니 점점 지역에서 사라져 가거나 그 수가 줄어들고 있다.

그 때문에 예술계는 예술인과 예술가를 구분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한, 공공 미술에 대한 이해도 부족으로 행정력을 엉뚱하게 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공공 미술은 ‘community art’ 즉 공동체 의식에서 개념을 확장해 나가는 하나의 사회활동의 문화예술이다.

주체자인 행정원과 예술인의 적절한 소통과 그 지역의 주민들과의 소통방식을 활용해 기획의 완성도를 놓여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보고 있다. 하지만 공공미술의 역사적 배경부터 혼돈해 강의하는 교수들이나 전문가를 접하면서 현재의 문화뉴딜 사업이 어떻게 흘러갈 것인지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또한, 행정인의 일방적인 의사 결정으로 의미 없는 조형물이나 동네 담벼락 낙서로 끝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 미술평론가의 말을 인용하자면 전문가를 구분 못 하는 지자체에선 공공미술과 무관한 지역 인사나 연고주의식 인사 결정으로, 참여하는 이들이나 뽑는 이들이나 공공 미술을 모르긴 매한가지라는 말이 나올 정도니, 졸속으로 기울어지는 건 시간 문제처럼 보인다.

가뜩이나 코로나19로 힘든 '현대판 보릿고개'를 겪고 있는 상황에 1,000억 원에 가까운 돈을 졸속으로 기울어져 가는 ‘공공미술’의 지원보다, 현실적으로 재난을 극복할 지원금으로 다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